죽도시장에 생선구이 정식을 판매하는 곳은 제법 많다.
다들 비슷비슷한 포맷을 가지고 있다.
쌀 또는 보리밥
+
비빔밥을 만들어 먹을 수 있는 반찬세팅
+
된장찌개
+
생선구이
다들 이런 상차림을 가지고 있다.
그중 칼국수 골목 안쪽에 자리잡은
대화식당과 순영네식당은 그중 투톱을 달리고 있다.
그중 대화식당은 자타가 공인하는 원톱이다.
점심시간이 되면 사진처럼 사람들이 줄을 서는 집이다.
맞은편에 순영네밥집도 만만치가 않다.
줄을 서는 경우는 적지만
대부분의 자리는 만석이다.
대화식당은 마약김밥이라는 별도의 콘텐츠를 보유하고 있고
그것을 맛보러 오는 사람도 제법 된다.
두 가게의 상차림 포맷은 비슷한데
결정적인 차이점은
바로 생선구이의 종류이다.
대화식당은 고등어 구이를 내어주고
순영네밥집은 가자미 구이를 내어준다.
그러므로 고등어를 먹고싶으면 대화식당으로
가자미를 먹고싶으면 순영네로 가면 된다.
간만에 순영네밥집에 들어가본다.
그리고 청천벽력같은 비보를 접한다.
가격인상이다.
500원 인상을 하여
5,500원으로 책정이 되었다.
사실 오를때도 된듯하다.
대신 두명이 밥을 먹고
잔돈없이 1만 원이면 해결되던
풍경은 이제 볼 수 없는 것이다.
여기도 테이블 위에 마른멸치와 고추장이 있다.
기다리기 심심하거나 출출하면 하나씩 찍어먹으면 된다.
사실 기다리는 시간도 그리 오래 걸리지 않는다.
멸치를 먹을 때
머리와 꼬리를 따고 먹는 것은
하수들이나 하는 짓이다.
영양소가 풍부한
어자원의 낭비일 뿐만 아니라
인간을 위해 희생한
한마리의 생선을 대하는 태도가 아니기 때문이다.
다만
딱딱한 꼬리와 머리 부위가
입천장을 찍는 것은
주의해야할 사항이다.
물론 다치지 않고 온전히 한마리를 먹는 것도
고수가 가져야 할 소양임에 틀림이 없다.
숭늉도 나온다.
너무 뜨겁지도 않고 온도는 적당하다.
식수가 따로 나오지 않으므로
식후에 마실 분량을 다소 남겨두는 것을 추천한다.
이집의 시그니처 생선구이인
가자미 구이 되시겠다.
예전에 비해 크기가 좀 작아진거 같은데
기분탓일것이다.
사장님인 순영 어머님이
조리하는 과정을 봤는데
구웠다기보다
거의 튀겼다.
그래서 바삭함이 이루말할 수가 없다.
잔뼈는 그냥 씹어먹어도 된다.
그외 반찬들의 세팅이다.
대부분 비빔밥의 재료로 사용될 것이다.
센터를 차지하고 있는
된장찌개다.
칼칼하고 살짝 매콤하다.
무침류 반찬들은
1/n 로 나누어서 각자 밥그릇 속으로 들어간다.
밥을 주문할때는 셋중에 하나를 골라야 한다.
순수하게 쌀밥으로만 할 것인지
보리밥으로만 할 것인지
아니면 반반으로 할 것인지 말이다.
보통 반반으로 먹으면 좋다.
밥 위에
각종 나물을 올리고
아까 멸치를 찍어먹던
고추장을 한숟갈 올린다.
밥을 비빌때 된장을 몇숟깔 넣는 사람들이 있던데
필자는 절대 그런 짓은 하지 않는다.
왜나하면 그렇게 하지 않아도
잘 비비기 때문이다.
테이블 위에 참기름도 있다.
까먹지 말고 적당량을 두른다.
맛깔나는 색깔이 완성이 되었다.
두부와 호박이 듬뿍 들어간 된장찌개
'여기, 포항'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항 죽도시장 스타일 좋은 카페, 죽도소년 (0) | 2018.09.10 |
---|---|
포항 양덕 가성비 좋은 족발집, 일봉족발 법원점 (0) | 2018.09.07 |
비오는 날엔 짬뽕, 죽도동 맛집, 몽짬뽕 포항직영점 (0) | 2018.09.01 |
포항 죽도동 24시간 가성비 쩌는 야식집, 우리집 먹거리 (0) | 2018.08.31 |
포항 죽도동 포스코건설 뒤편 음식점, 대덕식당 (0) | 2018.08.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