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다른 동네

예천 여행 가볼만한곳, 낙동강과 막걸리가 흐르는 삼강주막

반응형

 

주차장은 넓다.

주차도 입장도 무료다.

 

우리나라 마지막 주막이라고 일컬어지고 있다.

마지막 주막의 마지막 주모가 2006년에 돌아가시고

문화 관광 단지 수준으로 리모델링 되었다.

 

옛 주막의 모습을 재현한 건물을 볼 수 있고

그 뒤로 흐르는 세강이 합쳐지는 모습을 볼 수 있고

주막촌에서 파는 막걸리와 전을 먹어볼 수 있다.

 

 

주차를 하고 예쁘게 꾸며진 정원을 따라 이동한다.

이제 막 만들어진 정원은 아직 부실하기 그지없다.

하지만 몇년안에 나무들이 풍성해지면서

아주 멋진 공간으로 탈바꿈할 것이다.

 

 

주막촌에 도착

 

각종 음식을 테이크아웃해서 평상이나 방에 들어가 먹으면 된다.

 

입구부터 전 냄새가 진동을 한다.

꿀꺽

 

 

보부상. 사공 숙소를 재현해놓은 건물

짐을 한가득 짊어지고 강변에 도착하여

나룻배를 기다리면서

머물렀을 숙소였을 것이다.

 

하루의 땀을 씻어내고

파전으로 막걸리 한 사발을 들이켰을 것이고.

 

 

각종 체험 및 민박 안내

 

 

삼강주막 차림표

 

막걸리, 배추전, 부추전, 두부, 도토리묵 등을 판매한다.

가격대가 적당한 것이

관광지 치고는

그리 바가지가 아니다.

 

 

삼강주막

 

최근에 복원이 되어 다소 낡은 멋은 찾기가 힘들다.

 

방 두 칸, 부엌 한 칸, 대청마루 하나

작은 건물을 짜임있게 잘 구성되어 있는 건축문화유산이다.

 

 

 

주막촌 일대

 

한여름인데도 사람들이 많이 찾았다.

삼삼오오 원두막에 앉아서

막걸리와 배추전을 먹으며

담소를 나누고 있다.

 

 

 

한켠에는 예천공처농요 공연을 하고 있다.

 

농요는 집단 농업에서 농사를 지을 때 부르던 노래이다.

예천 용궁면 일대에서 특이하게 전승되어 오던 이 농요는

경상북도 무형문화제 제10호로 지정되어 오고 있다.

 

왜 특이한지는 딴데 검색해보길

 

 

삼삼오오 평상에서 막거리와 전을 먹고 있다.

 

 

 

 

예천공처농요 공연장면

 

 

 

삼강나루터 안내문

 

왜 삼강이냐면

이동네가 '삼강리'이기 때문이다.

 

왜 삼강리냐 하면

낙동강이 지류인 내성천과 금천을 만나는 곳,

즉 3개의 강이 만나는 지점이라 그렇다.

수상교통의 삼거리쯤 되는 곳의로

교통의 요지이다.

 

유유히 흐르는 낙동강

 

 

 

 

 

 

 

 

 

반응형